#518동지 #민주영령

'광주 울린 목소리' 5·18 가두방송 전옥주씨 별세

2021.2.17 MBC뉴스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가두 방송을 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했던 전옥주 씨.

오늘 7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계엄군에게 가혹한 고문을 당해서 평생을 후유증에 시달리면서도 5·18 진상 규명에 앞장서 왔죠.

송정근 기자가 그의 삶을 되돌아 봤습니다.
 

[리포트] "우리는 최후까지 싸울 겁니다. 우리는 광주를 지켜내고야 말 것입니다."

계엄군이 전남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를 했던 1980년 5월 21일.

전옥주 씨는 가두 방송을 하고 있었습니다.

머리를 질끈 동여맨 이 여성, 당시 31살의 전옥주 씨입니다.

무용강사였던 전 씨는 친척집을 왔다가 계엄군의 만행을 목도 하고 직접 마이크를 잡았습니다.

광주에 울려 퍼진 그녀의 절규는 시민들의 저항에 불을 지폈습니다.

[故 전옥주/5.18 38주년 기념식, 2018년]
"지금 우리 형제 자매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집에서 편안하게 주무실 수 있습니까?"

페이지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13 위지 * 기억하겠습니다
112 유승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많은 분들이 희생되어서 매우 슬픕니다. 지금의 우리나라가 있게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분들이 목숨을 바치시면서 지켜내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입니다. 절대로 잊지 않겠습니다.
111 김범 * 민주주의 를 위한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110 이나 *
5.18 광주 시민 민주화 운동이 100년이 지나도 후손의 후손들까지 기억할 수 있게
우리부터 기억해야합니다
그 날 광주의 시민분들께서 한 영광스런 시위를 헛 되지 않게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하고 잊지 않겠습니다
109 이나 *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8 강연 * 모든 분들의 희생과 노력을 잊지않겠습니다.
107 강연 * 모든 분들의 희생과 노력을 잊 지 않겠습니다.
106 이나 * 힘내세요
105 이지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많은 분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는것 잊지 않고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104 박찬 * 희생 되신 분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