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나병식(5.18민주유공자)회원 부친상

나병식(5.18민주유공자)회원의 부친(故 나정주님)께서 
2011. 07. 08(금) 오전3시 별세하셨습니다.
 

현재 풀빛 출판사를 운영하고 계신 나병식님은 1970년 서울대 문리대 국사학과 입학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주화운동에 헌신하였으며 출판 문화운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특히 1985년 광주학살을 최초로 폭로한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출판하여 5.18의 진실을 알렸고 이와 관련하여 압수,장기수배,투옥 등의 고초를 겪으면서도 이후에도 5.18관련 도서를 비롯하여 사회과학서적을 계속 발간함으로써 출판을 통한 민주화운동의 촉진,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민주화를 향한 긴 여정에 본인은 말할 것도 없고 필시 부모님의 근심과 안타까움, 가족들의 고초가 따랐을 터, 부친상을 당하신 나병식 회원과 가족들이 얼마나 애통하실지...더구나 얼마전부터 암투병 중인 나병식회원의 황망함과 상심함이 얼마나 크실지...무어라 위로의 말을 전하는 것조차 허망하여 말문이 막힙니다. 

슬픔 중에 계실 나병식회원과 가족들에게 모쪼록 선후배 동지들,친지들의 위로와 격려가 함께 하기를 기원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마음모아 기원합니다.
 

★ 빈    소 : 강북삼성병원 장례식장 6호실 / 02-2001-1081 /서대문역(5호선) 4번 출구

★ 발인일시 : 2011. 07. 10. (월) 오전 6시30분

★ 장    지 : 서울시립승화원-경기포천(선영)

** 연락 전화번호 : 나병식 (011-9924-8901)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25 김소 *
곧 40주년인 광주 민주화 운동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또한 지금도 자신의 잘못을 뉘우 치지 않는 책임자에 대한 처벌 또한 하루빨리 정당히 이루어 지기를 소망합니다.

24 차광 *
이땅의 민주화를 위해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치신 민주영령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땅에 살아있는 저희가 뒤를 잇겠습니다. 책임자 처벌과 함께...
23 김대 *
억울한 영령들의 원혼을 주님 위로해 주소서...

5.18 군부 가담자들과 사병 한 명까지도 찾아내
엄벌에 처해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겠습니다...
22 김대 *
억울한 영령들의 원혼을 주님 위로해 주소서...

5.18 군부 가담자들과 사병 헌 명까지도 찾아내
엄벌에 처해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겠습니다...
21 김해 *
5월~!
장교로 근무하던 2기갑의 탱크가 서울시청 앞에 주둔했다.
세월이 꽤 흘렀지만, 그 때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하다. 뭐라 할 말이 없다.
광주시민은 폭도로, 김대중 전대통령에게는 사형을, 그리고 그 이후 살아오면서 주변의 광주 비하 발언을 수없이 들으며 살아왔다.
SNS에도 '홍어족'이니, '빨갱이'니무분별한 비난 글에도 가슴을 움켜쥐며 살아왔다.

5월~!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한 분들도 있다.

60대 중반의 나이에,
이제 나 또한 살아오면서 가슴에 묻어둔 아픔과 미움을 지우려 한다.

사랑합니다! '광주'~♡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20 문수 *
코로나19 참사를 대한민국 온국민이 함께 희생과 마음을 모아 이겨내고 있는 지금. 민주와 정의를 외치는 우리 시민에게 총을 드리댄다는 것이. 죽음으로 몰아 간다는 것이 있을 수 있다는 말입니까? 진실은 밝혀져 있습니다. 반드시 그 죄인의 처벌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19 김석 * 그날의 함성을 잊지않고 앞으로도 민주정신이 계속 발전하도록 하겠습니다.
민주화에 힘쓴 모든 사람들에게 명복을 빕니다.
18 유인 * 5.18 정신을 잊지않고 가슴에 다시한번 되새깁니다
책임자를 꼭 처벌되기를.....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