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개혁상징 월주 스님 ‘열반’

[중앙일보] 백성호 기자 입력 2021.07.23 00:03

80·94년 두 차례 조계종 총무원장
전두환 신군부 맞서다 미국 유배도
불교 자주화, 종단 민주화 틀 세워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도 이끌어

 

“토끼에게는 뿔이 없다. 귀만 있다. 세상을 떠나 깨달음을 구하는 것도 이와 같다.”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장을 두 차례 역임하고, 지구촌공생회 등을 통해 대사회 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던 월주 스님이 22일 오전 9시45분 전북 김제 금산사에서 입적했다. 법랍 67세, 세수 87세. 올해 폐렴 등으로 동국대 일산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오던 고인은 이날 새벽 조실로 있는 금산사로 옮겨진 뒤 눈을 감았다.
 
월주 스님은 1980년과 94년 두 차례에 걸쳐 제17대, 제28대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을 역임했다. 고인의 개인사는 조계종단의 개혁사와 맥을 같이한다. 고인은 1980년 조계종 총무원장에 당선됐다. 그해 10월 신군부에 의해 10·27 법란이 발생했다. 신군부는 그에게 종단 명의로 전두환 지지 성명을 내라고 했다.
 

종단 명의로 낼 것을 거부하자 이번에는 ‘총무원장 송월주’ 명의로 내라고 했다. 이번에도 거부했더니 서빙고 보안실로 데리고 갔다. 월주 스님은 거기서 23일간 고초를 겪었다. 당시 신군부에 비협조적인 조계종단의 와해를 노린 작전명이 ‘45계획’이었다. 조계사의 주소가 서울시 종로구 견지동 45번지였기 때문이다.
 
결국 월주 스님은 미국으로 3년간 유배 생활을 떠나야 했다. 그리고 1994년 12월, 꼬박 14년 만에 다시 총무원장이 됐다. 조계종이 정치승에 의한 장기집권 음모로 몸살을 앓을 때였다. 종단의 개혁세력이 월주 스님을 지지했다. 고인은 불교 자주화, 종단 운영 민주화 등을 앞세우며 ‘깨사(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전개했다. 또 총무원장 3선 금지 제도를 마련해 정치승에 의한 장기집권 시도를 제도적으로 차단했다.
 
조계종단에서는 당시 체제를 ‘개혁 종단’이라 부른다. 그 중심에 월주 스님이 있었다. 지금도 “조계종단사는 송월주 스님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만큼 조계종의 개혁사에서 고인은 큰 역할을 했다.
 

월주 스님은 불교의 울타리 안에만 머물지 않았다. 당시 가톨릭의 김수환 추기경, 개신교의 강원용 목사와 함께 고인은 ‘종교 지도자 삼총사’로 불렸다. 생전에 고인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세 사람 중 누구도 자기 종교의 우월성을 말하지 않았다. 단지 종교가 사회의 빛과 소금이 되고자 했다”며 “그렇지 못할 때 종교는 국민과 사회로부터 신뢰를 잃게 된다”고 회고한 바 있다. 월주 스님은 이들과 20년 가까이 친분을 나누며 우리 사회와 국가의 문제를 의논하며 목소리를 냈다.
 
월주 스님은 1998년 총무원장에서 물러난 뒤에도 ‘깨사 운동’을 멈추지 않았다.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시민사회운동을 전개했다. 경실련과 불교인권위원회의 공동대표를 맡기도 했고, 국제구호 NGO ‘지구촌 공생회’와 함께 일하는 재단, 위안부 할머니들의 쉼터 ‘나눔의집’ 등을 설립해 이사장을 맡았다. 캄보디아를 비롯한 빈곤 국가 5개국에 2000개가 훨씬 넘는 우물을 팠고, 네팔과 라오스 등 8개국에서 60개가 넘는 학교를 준공했다.
 
생전에 월주 스님에게 ‘누가 행복한 사람인가’를 물은 적이 있다. 월주 스님은 “자신이 하는 일에 만족을 느끼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다. 아무리 고관대작이라 해도 만족하지 않으면 불행하다”며 “나는 부족하다. 더 노력해야 한다. 그렇지만 나는 행복하다. 내가 하는 일에 보람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월주 스님은 또 수행과 자비를 둘로 나누지 않았다. “수행하면서 자비를 베풀고, 자비행을 하면서 또 수행해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했다. 그걸 자신의 삶으로 몸소 보여주었다.
 
분향소는 김제 금산사 처영문화기념관에 마련된다. 장례는 종단장으로 26일까지 5일장으로 치러진다. 영결식은 26일 오전 10시에 거행하며, 같은 날 금산사 연화대에서 다비식을 엄수할 예정이다.

[출처: 중앙일보] 조계종 개혁상징 월주 스님 ‘열반’ - 중앙일보 (joins.com)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43 hs * hs=96c85ea3c7a31a7f61de8155d321ac1b<div style="display:none;">
142 장익 *
광주518민주화운동 41주년 입니다. 광주518민주화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염원의 횃불,어두운 바다의 등대,사람 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
모든 사람들의 기본 권리를 짓밟아 무력으로 공포 통치하려는 신군부 군부세력의 잘못된 발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
대한민국 민주화의 선봉에서 주권자 권력자의 책임을 이행하다 순직하신 유공자 영령 분들과 유가족 분들에게 진심으로 위로하며 감사합니다.
.
아직 행방불명되어 계신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
518민주화운동에 희생당한 분들에게 살아있는자들은 예우를 갖추어야 하며 더이상 518민주화운동 명예가 실추되지 않도록 합시다.
.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명령복종한 자들은 행불자 제보라도 하세. 가족의 유골은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억합니다.
.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헌법과 교과서에 왜곡없이 기록,수록 됩니다.
141 장익 *
광주518민주화운동 41주년 입니다. 광주518민주화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염원의 횃불,어두운 바다의 등대,사람 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
모든 사람들의 기본 권리를 짓밟아 무력으로 공포 통치하려는 신군부 군부세력의 잘못된 발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
대한민국 민주화의 선봉에서 주권자 권력자의 책임을 이행하다 순직하신 유공자 영령 분들과 유가족 분들에게 진심으로 위로하며 감사합니다.
.
아직 행방불명되어 계신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
518민주화운동에 희생당한 분들에게 살아있는자들은 예우를 갖추어야 하며 더이상 518민주화운동 명예가 실추되지 않도록 합시다.
.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명령복종한 자들은 행불자 제보라도 하세. 가족의 유골은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억합니다.
.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헌법과 교과서에 왜곡없이 기록,수록 됩니다.
140 최현 *
80년 그날의 영령들을 기억하며 5.18정신 잊지 않고 살아가겠습니다.
'민주'... 민이 주인이 되는 세상을 꼭 만들어가겠습니다.
139 한기 * 님의 숭고한 희생으로 우리나라가 자유 민주국가를 이룩 했습니다.
님의 뜻을 기억하고 살겠습니다.
138 정혜 * 희생자들의 죽음이 헛되이 되지않게 하소서...

137 추모 *
일단 진짜 유공자들에게는 감사한다. 그런데 지근 정권 잦은 놈들 518의 이름을 쓰레기통에 쳐박는구나. 취지는 알겠는데 유공자 리스트 공개해봐. 누가 유공자인지부터 좀 알자. 엿가락처럼 매년 계속 수가 늘어나는게 유공자냐. 몇일 학생운동해 감옥 갔다온것이 이렇게 신생 귀족이 될 일인가. 그리고 왜 518 유공자를 광주가 아닌 서울 아파트를 주냐. 그리고 다른 유공자들과 형평성이 왜이리 안맞냐? 다 매표 행위다. 갈라치기 너무 흉하다.
136 광주 *
해도해도 너무하는거 아닙니까?

소싯적 같이 데모하던사람들을 챙겨주려는 마음은 이해는 되지만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정책이 상대적 박탈감과 역차별을 만들어서야 되는지요?

남녀를 가르고 지역을 가르고 나라를 반으로 가르는게 표가되고 돈이된다는건 이해하지만, 이제는 대놓고 국가세금을 우리식구끼리 나눠먹자는 식으로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평생을 광주에서 살아왔지만 518단체들 문제 많다는것 뉴스에도 여러번 나왔습니다.

신양 OB파 행동대장 조폭출신 518회장 기사나오고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들을 5·18 피해자로 꾸며 거액의 보상금을 받게한뒤 억대의 사례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5·18 구속자회 이모 전 회장을 비롯 가짜 피해자 대다수가 “재산이 없다”며 오히려 배짱부리며 기사나오던 상황이나...

518 가짜피해자 113명 적발되서 뉴스나온 내용이나...

적당히 하시죠... 광주사람들도 518로 감성팔이하고 일반 광주시민 역차별 하는거 썩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135 홍어 * 으따 우리가 다 해먹장께 ㅋㅋㅋ 5.18 광주이지만 혜택은 서울 아파트랑께 ㅋㅋㅋㅋㅋ
134 김창 * 아따, 우덜이 봐도 좀 심해 부렀어라~잉?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