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시민사회단체, 미얀마 민주화 지지 성명 발표

2021.2.25 청년투데이 보도

[청년투데이=장효남 기자] 무후광복군기념사업회 등 9개 시민사회단체가 25일 오전 광화문광장에서 미얀마 군부는 국민 살상을 중단하고 합법적 정부에 권력을 이양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성명에 따르면 미얀마는 1962년 네엔의 쿠데타로 시작된 군부 독재로 아시아에서 가장 낙후된 나라가 되었고, 아웅산 수치에 의해 수립한 민주정부를 총칼로 다시 무너뜨렸다고 비판하였다. 

우리의 민주정부 수립 경험과 지혜를 세계 각국과 나눌 때라면서 미얀마 민주화를 위해 아래 사항을 요구하였다.

1. 미얀마 군부는 무고한 시민들을 살상과 반인권적 행위 일체를 중단하라
2. 미얀마 군부는 즉시 군으로 복귀하고, 빼앗은 권력을 합법적인 정권에 돌려주라
3. 대한민국 정부는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외교적 지원에 적극 나서라

채수창 무후광복군기념사업회 대표는 “시민사회단체는 앞으로 SNS 활동 등을 통해 미얀마 민주화운동을 지지하는 연대활동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성명 발표에 참여한 단체는 희망시민연대, 경찰무궁화클럽, 80년민주화운동동지회, 촛불계승국민연대, 직접민주주의연대, 안병하인권학교, 무후광복군기념사업회, 이동화선생기념사업회,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9개 단체이다.  

출처 : 청년투데이(http://www.fnnews21.com)

http://www.fnnews21.com/news/articleView.html?idxno=31595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5 양희 *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1980.05.20 전남매일신문사장 귀하
34 노무 * 빨갱이 폭동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29 이 *
1980년 5월 17일, 종로에는 술취한듯한 군인들이 수 많은 트럭을 타고 군가를 부르며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광주로 가는 군인들로 짐작 됩니다. 그후에 미국에 살며 한국을 그리며 광주사태에 막말을 하는 자들을 저주하며 40년을 살았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전두환과 그 잔당을 처벌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수 있을까요?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