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2014년/글]우수상 - 배시완(문현고3)

할머니의 발걸음

문현고 3학년 배시완



상여를 따라가는 마치 만장기처럼

봄바람에 날리고 휘날리는 저 붉고 흰 꽃잎들

크고 작은 나무마저 고개 숙인 나뭇가지에 걸린 햇살은

할머니의 어눌한 걸음걸이를 살며시 감싸주지만

아들의 묘비를 부여잡고 눈물로 오열한다.

얼음 같은 석비를 나란히 보고 선 할머니와 나

금방 용광로처럼 요동치는 내 왼쪽 심장,

잠시 후 내 작은 목울대가 문득 꿈틀댄다.

오늘 참배하는 사람들로 여기저기서 수많은

흰 국화꽃들이 송이송이 피어나서는

국화꽃 향내음이 그날의 함성처럼 퍼지고

그윽히 코끝이 찡하고 눈시울이 시릴 즈음

할머니는 다시금 나 몰래 눈가 눈물을 훔친다.

어느새 덩달아 핏줄을 속이지 못할 듯 슬퍼지고

나도 모르게 힘주어 눈 질끈 감으면

삐져나온 눈물이 풀잎의 아침 이슬처럼 맺힌다.

이윽고 일어서보지만 몇 해를 얼마나 그러했는지

구부러진 할머니의 키는 묘비와 동무이다.

그리곤 차마 떨어지지 않는 그 발걸음을

두세 걸음 걷고는 다시 누운 아들을 돌아보며

도무지 펴지지 않는 허리를 툭툭,

두세 걸음 걷고는 뒤돌아보며 또 다시 툭툭 친다.

이미 그늘진 세월처럼 굽어질대로 굽어져버린

당신의 허리를 자꾸 두드리는 손길은

아들의 혼령을 끝내 위로해주기 위함일까?

햇무리가 엷은 안개마냥 감싸 도는

5․18 광주 망월동 묘역 아들 곁을 떠나

한 맺힌 지팡이만 이승의 집으로 가는데

오늘따라 할머니의 발걸음은 더욱 더뎌만 간다.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9 한우 *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8 이하 *
2000년대에 태어난 저에게는 조선시대 만큼 옛날로 느껴졌던 역사였습니다. 역사시간에 그저 시험을 위해서만 의미 없이 날짜와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이름을 외우고 시험이 끝나면 까먹기 일쑤였죠. 하지만 오늘 5.18을 추모하며 몇 가지 영상을 보니 과거의 제 자신이 너무나도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5.18이 없었다면 아마 지금의 제가 민주 항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당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오늘의 제가,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해주신 분들의 노력을 잊지 않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뼈저리게 느껴지는 하루일 것 같습니다.
37 최연 *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6 김민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35 양희 *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1980.05.20 전남매일신문사장 귀하
34 노무 * 빨갱이 폭동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