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김준태 시인 ,통일서화전

김준태 시인의 통일시화전(그림_ 화가 장순복)



●전시 일시/ 2007년 7월 11일(수)~17일(화)

●전시 장소/ 서울 인사동 공화랑(인사동 네거리, 한국관광명품점 옆 735-9938)

●초대 일시/ 2007년 7월 11일(수) 오후 5시



●주최/ 한국문학평화포럼

●후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도서출판 글누림·민족21



● 시화 글씨: 김규동(시인), 고은(시인), 민영(시인), 김지하(시인), 정희성(시인), 김준태(시인)

● 시화 그림: 장순복(화가)



김준태의 통일 시화전 참여 시인 - 총 27인

김규동 / 이기형 / 고은 / 민영 / 백기완 / 김지하 / 정희성 / 오영재 /

장소현/ 이세방 / 김정환 / 김태수 / 백석 / 이용악 / 조운 / 김수영 / 신석정/

문익환 / 박봉우 / 신동엽 / 조태일 / 조명희 / 조기천 / 리찬 / 김영 / 김남주 /김준태





김준태 시인 약력



1948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1969년 『시인』지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1995년 『문예중앙』에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주요 시집으로 『참깨를 털면서』 『나는 하느님을 보았다』『국밥과 희망』 『오월에서 통일로』 『칼과 흙』 『통일을 꿈꾸는 슬픈 색주가』 『꽃이, 이제 지상과 하늘을』 『지평선에 서서』 등.

문학평론집으로 『5월과 문학』 『시인은 독수리처럼』

문명비평집으로 『20세기말과 지역문화』

에세이집으로 『인간의 길을 묻고 싶다』

세계문학기행집으로 『세계문학의 거장을 만나다 』

역서로 베트남 전쟁소설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 』 등.

그리고 최근 『김준태의 통일을 여는 시―백두산아 훨훨 날아라』를 펴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5·18항쟁동지회장(제6대),

전남일보·광주매일 문화부장, 경제부장, 부국장 및 PBC 광주평화방송 시사자키 등 역임.

현재, 한국문학평화포럼 부회장·민족문학작가회의 자문위원·

조선대학교 인문대 초빙교수.

손전화: 016-611-3270, 이메일: kjt487@hanmail.net





장순복 화가 약력



1965년 서울 출생. 1

986년 <민중의 땅전>을 시작으로

<일어서는 역사전>(그림마당 민), <이성강·김원주·장순복 3인전>(그림마당 민) <남한강사람들 창립전> <경기 미술의 새로운 도약전> <텃밭을 갈아엎고> <경운기를 타고 가는 예술여행> <지구의 기억전>(제비울 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2007년 개인전으로 <북내면 이야기>(여주 북내면사무소) <들녘에서 만나다>(갤러리 눈) 등을 전시하여 주목을 받았다.

현재, 민족미술협의회 회원·여주민예총 회원.



손전화: 010-5590-9584,

이메일: grimnuri@empal.com, 블러그: http://blog.naver.com/laonjena3





** 1969년 조태일 시인이 주재하던 <시인>지를 통해 문단에 데뷔한 이래

<참깨를 털면서>(현재, 고3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김준태 시인의 대표시) <칼과 흙> <꽃이, 이제 지상과 하늘을>

< 지평선에 서서> 등 10여권의 시집과

<세계문학의 거장을 만나다> 등 여러 권의 산문집을 펴낸 바 있는

5월 광주의 시인, 김준태 시인은

1980년 5월 현장에 직접 참가하고, 이후 광주항쟁의 진실을 최초로 폭로한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라는 작품을

전남매일신문에 게재하여 광주의 진실을 전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이후 김준태 시인은 5월시 필화사건으로 전남고 교사직에 파면당하는 등 수난을 겪었으며,

제6대 5.18항쟁동지회장을 역임했다

그동안 민족과 역사 앞에 순정한 마음을 지녀온

김준태 시인(전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현 한국문학평화포럼 부회장, 조선대 인문대 초빙교수)이

지난 2년간『월간 민족21』지에 연재하여 호평을 받은,

한반도 남북 시인들과 해외거주 동포시인들의 통일詩에 대한 해설과 중견화가 장순복의 그림을 한데 묶어

최근『김준태의 통일을 여는시― 백두산아 훨훨 날아라』를 출간(도서출판 글누림)하였다.

이에 시력 38년이자, 올해 회갑을 맞은 김준태 시인이 이 책의 출간을 기념하고, 민족통일을 국민과 더불어 함께 생각하는 순정한 마음을 담아 한국문학평화포럼 기획전으로 <김준태 시인의 통일시화전>을 개최한다.



한국문학사상 통일을 주제로 한 시화전(詩畵展)은 최초의 일이며,

특히 이 전시회에 한국문단의 원로이자 중심인 김규동, 고은, 민영, 김지하, 정희성 시인이

자신의 자작시에 대해 육필시를 직접 써서 통일시화전에 참가하고,

이기형, 백기완, 김정환, 백석, 이용악, 조운, 문익환, 오영재, 박봉우, 조태일, 김수영, 신동엽, 조기천, 리찬, 조명희, 김남주 시인 등의 통일시를 김준태 시인이 심혈을 기울여 육필시를 썼다.

이 통일시화전은 한국화단의 중견인 장순복(중앙대 미대 출신, 민족미술협의회 회원, 1986년 <민중의 땅전> 참여 이후 수많은 민중미술 기획전에 참가, 최근 <북내면 이야기> <들녘에서 만나다> 등 개인전 개최) 화가가

통일시편의 주제를 훌륭하게 형상화해내어 주목을 끌고 있다.



< 김준태 시인의 통일시화전>

오는 7월 11일(수)) 오후 5시 인사동네거리에 위치한 공화랑(전화 02-735-9938)에서

오는 17일(화)까지 1주일간 특별 전시합니다.

한국문학사상 통일을 주제로 한 최초의 시화전인 이번 전시회는 벌써부터 큰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는 바

한번 왕림하셔서 구경해주시기 바랍니다.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25 김소 *
곧 40주년인 광주 민주화 운동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또한 지금도 자신의 잘못을 뉘우 치지 않는 책임자에 대한 처벌 또한 하루빨리 정당히 이루어 지기를 소망합니다.

24 차광 *
이땅의 민주화를 위해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치신 민주영령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땅에 살아있는 저희가 뒤를 잇겠습니다. 책임자 처벌과 함께...
23 김대 *
억울한 영령들의 원혼을 주님 위로해 주소서...

5.18 군부 가담자들과 사병 한 명까지도 찾아내
엄벌에 처해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겠습니다...
22 김대 *
억울한 영령들의 원혼을 주님 위로해 주소서...

5.18 군부 가담자들과 사병 헌 명까지도 찾아내
엄벌에 처해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겠습니다...
21 김해 *
5월~!
장교로 근무하던 2기갑의 탱크가 서울시청 앞에 주둔했다.
세월이 꽤 흘렀지만, 그 때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하다. 뭐라 할 말이 없다.
광주시민은 폭도로, 김대중 전대통령에게는 사형을, 그리고 그 이후 살아오면서 주변의 광주 비하 발언을 수없이 들으며 살아왔다.
SNS에도 '홍어족'이니, '빨갱이'니무분별한 비난 글에도 가슴을 움켜쥐며 살아왔다.

5월~!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한 분들도 있다.

60대 중반의 나이에,
이제 나 또한 살아오면서 가슴에 묻어둔 아픔과 미움을 지우려 한다.

사랑합니다! '광주'~♡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20 문수 *
코로나19 참사를 대한민국 온국민이 함께 희생과 마음을 모아 이겨내고 있는 지금. 민주와 정의를 외치는 우리 시민에게 총을 드리댄다는 것이. 죽음으로 몰아 간다는 것이 있을 수 있다는 말입니까? 진실은 밝혀져 있습니다. 반드시 그 죄인의 처벌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19 김석 * 그날의 함성을 잊지않고 앞으로도 민주정신이 계속 발전하도록 하겠습니다.
민주화에 힘쓴 모든 사람들에게 명복을 빕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