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ㆍ18기념재단이사회, 이홍길 제8대 이사장 선출

5ㆍ18기념재단 이사회는 2006년 8월 21일 2006년 제3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제8대 신임이사장으로 이홍길 전 전남대교수를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신임 이홍길 이사장은 취임소감을 통해 “화해의 시대인 21세기의 흐름에 맞게 상승과 상생의 정신으로 5월정신을 승화하는데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홍길 이사장은 1941년 전남 함평 나산 출신으로 1960년 광주고등학교 3학년시절, 광주 4월혁명을 주도하였고, 1964년 전남대 사학과 4학년 시절, 한일회담 반대 전남대 6ㆍ3운동 주도한 바 있다. 이후 1969년부터 2004년 2월 명예퇴직 할 때까지 전남대학교에 재직했다.
재직기간에는 1978년 민주교육지표선언 참여로 해직당한바 있고, 1980년 3월 복직한 이후 1980년 5ㆍ18민중항쟁기간에는 도청수습위원으로 참여해 구속당한 바 있다.
이번 신임이사장선출은 지난 8월 초, 박석무 이사장이 개인사정(학문연구활동 정진)을 이유로 사퇴서를 제출함에 따른 보궐선거이다.
한편, 신임 이홍길 이사장은 8월 23일(수) 오후 4시 국립5ㆍ18묘지를 공식참배하고 공식집무를 시작한다.


보도자료에 대한 문의사항
담당자 : (재)5ㆍ18기념재단 총무팀장 이기봉 062-457-0518,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홍길(李洪吉) 이사장 약력
1941. 8. 7 전남 함평군 나산면 출생
1958. 전남 목포시 목포중학교 졸업
1961. 전남 광주시 광주고등학교 졸업
1965. 전남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졸업
1967.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
1982~1984. 대만 사범대학 대학원 수학(역사연구소)
1986.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취득)

경력
1969년 전남대학교 조교발령
1991년 전남대학교 신문사 주간
1993년 전남대학교 학생처장
2001년 전남대학교 인문대 학장
2004년 명예퇴직

사회력
1960년 광주사월혁명 주동(광주고등학교 3학년 재학시)
1964년 한일회담 반대 전남대 6ㆍ3운동 주동
1978년 교육지표교수선언 참여
1980년 5ㆍ18도청 수습위원 참여, 구속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69 오지 *
5월 18일은 꼭 기억해야하는 날중에 하나였던것 같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듯이 그날 많은 분들의
희생으로 인해 이제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이 더 똘똘뭉쳐 힘이 세졌습니다. 5월은 가슴아픈날이기도 하지만 감사한날인것도 같습니다 5월 18일은 우리 국민 모두가 두고두고 기억해야할날이고 그분들에 희생과 아픔을 헛되게 하지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68 이신 * 이런 역사는 되풀이 되서는 안됩니다.
모든 분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나라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67 심유 * 화이팅!
66 심유 * 화이팅!
65 김지 * 5.18문주화운동에 희생되신 모든 분들, 잊지 않겠습니다.
64 이채 *
저는 목포 사람입니다. 저희 아버지 또한 목포사람입니다. 5.18 민주화 항쟁 당시 저희 아버지는 고등학생이셨습니다. 광주와 정말 가까운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저희 아버지는 제대로 밝혀지지 전까지 폭동으로 알고 계셨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폭동이 아닌 것을,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 수 있게 만들어준 것을 인지하고 있기에 잊지 말아야 합니다. 거기선 편히 쉬세요.
63 김선 * 너무 고생하셨습니다.
62 오지 * 나라를 위해 힘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5.18 날은 잊어서는 안되는 날입니다. 멋진 희생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곳에서 편안하게 쉬세요..
61 금승 *
다시는 이런 역사가 반복되서는 안됩니다.
5.18은 민주화 운동이지 폭동이 아닙니다.
5.18은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시위입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이런 민주주의를 누릴수 있는 것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60 한소 * 1981 5월 18일 그들의 숭고한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가지며 살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