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 전 광주 꼭 닮은 미얀마...5·18 정신 본받아 이겨낼 것"

2021.5.18 18:46 정현우 기자

[앵커]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열린 5.18 기념행사에선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대한 언급과 연대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광주 정신을 본받아 민주화를 이루겠다는 미얀마인들의 다짐에 행사 참가자들은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서대문 형무소 앞에서 열린 5.18 광주민주화항쟁 41주년 기념행사.

얀 나이 툰 미얀마 민족통합정부 한국대표가 광주 영령에 대한 추모사를 이어가자, 내빈들이 하나둘 세 손가락을 치켜들기 시작합니다.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지를 뜻하는 손짓이 행사장을 가득 메우자, 얀 나이 툰 대표도 미얀마 민주주의에 대한 연대를 더욱 힘주어 호소합니다.

[얀 나이 툰 / 미얀마 민족통합정부 한국대표 : 태국 국경지대인 미야와디-메솟에 한국정부와 국회 그리고 지자체와 민간단체로 구성된 KOREA SAFE ZONE 건설을 추진하니 부디 힘을 실어주시기를 부탁합니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41년 전 광주에서처럼 쿠데타에 맞서 싸우는 미얀마 민주세력과의 연대.

[박병석 / 대한민국 국회의장 : 미얀마 민주화 운동 현장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이 울리고 있습니다. 미얀마 국민의 안전과 조속한 민주주의 회복을 염원합니다.]

5.18 유공자들은 군부의 총칼에 스러지던 광주 시민의 모습을 41년 뒤 미얀마에서 보는 게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픕니다.

[이군순 /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 : 미얀마 시민들이 군인들에게 다가갈 때 그들이 총을 쏘는 모습이 굉장히 충격이었습니다. 정말 광주 5.18을 보는 것 같았어요.]

민주화를 위한 연대를 선언한 시민들은 미얀마 현지 민주화 세력에게 보내는 기부금을 국내 미얀마인 단체에 전달했고, 이른바 '기부 러닝'도 시작했습니다.

후원금을 낸 뒤 미얀마 민주화 지지 티셔츠를 입고 달린 뒤 인증 사진을 남기는 캠페인입니다.

[김태현 / 프리 미얀마 월드런 조직위원회 : 자신이 원하는 만큼 비대면 달리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1호 공식레이스를 시작했으니까 이를 계기로 더 많이 뜨거워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절망이 가득한 현실이지만 미얀마인들은 끝내 민주주의를 이룩한 한국의 사례를 보면서 희망을 잃지 않습니다.

[정범래 / 미얀마 민주주의 네트워크 공동대표 : 5.18은 미얀마 사람한테는 희망의 상징이에요. 많은 사람이 죽었지만, 그분들이 흘린 피로 지금 대한민국이 민주화된 거잖아요.]

국내 미얀마인들은 쿠데타 세력이 아닌 민족통합정부를 인정하고 시민세력을 지원해달라는 호소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YTN 정현우[junghw5043@ytn.co.kr]입니다.

출처 : https://m.ytn.co.kr/news_view.php?key=202105181846351388&s_mcd=0103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5 양희 *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1980.05.20 전남매일신문사장 귀하
34 노무 * 빨갱이 폭동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29 이 *
1980년 5월 17일, 종로에는 술취한듯한 군인들이 수 많은 트럭을 타고 군가를 부르며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광주로 가는 군인들로 짐작 됩니다. 그후에 미국에 살며 한국을 그리며 광주사태에 막말을 하는 자들을 저주하며 40년을 살았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전두환과 그 잔당을 처벌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수 있을까요?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