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메시지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 Deprecated function: permissions_by_term_views_post_execute() 함수에서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sites/all/modules/permissions_by_term/permissions_by_term.module 파일 284번째 줄).

5·18진상규명위, 북한군 침투설 ‘모태’ 김명국 주장 ‘허위’ 결론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email protected] 승인 2021.03.30 13:49

‘2020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 통해 “상당 부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거나, 역사적·전술적 타당성이 없는 무리한 주장” 결론

 

“일부 탈북자들이 제기하고 있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북한군 개입설은 상당 부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거나, 역사적·전술적인 타당성이 없는 무리한 주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1980년 광주에 침투했다는 북한군 김명국(가명)씨 주장을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검증했다. 북한군 침투설의 ‘모태’가 된 탈북민 김명국씨 주장은 2013년 5월 채널A가 무비판적으로 중계하며 사회적으로 확산됐다. 김씨의 존재는 “5·18은 북한 특수군 600명이 일으킨 게릴라 전쟁”이라는 지만원씨 주장의 주요 근거이기도 했다.

5·18 진상규명위는 지난 1월31일 내놓은 240여쪽 분량의 ‘2020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탈북자의 북한특수군 광주 일원 침투 주장’ 검증 단락을 따로 마련했다. 규명위는 “탈북자 ○○○은 2006년경부터 기자회견과 언론인터뷰 등을 통해 본인이 북한 특수군으로 직접 5·18 당시 광주에 침투했는데, 약 300~600명의 병력이 배나 잠수함을 이용해 서해안·동해안으로, 또는 땅굴을 통해서 남침한 후 북한으로 귀환했다고 여러 차례 주장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특수군의 광주침투 주장은 2015~2016년을 기점으로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확산되었고, 5·18민주화운동 당시 북한 특수군이 개입했다는 주장은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진위를 밝히고 의혹을 해소해 향후 이와 관련된 국민적 논란 및 갈등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진상규명위는 군 및 정보기관에서 보유한 정보자료·교범·교훈집 등과 대조해 (침투설을) 분석하는 한편 로동신문·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문건과 기타 공개자료를 통해 조사 결과를 보완하고 미국정부 문서(주한 미 대사관, 국무부, 국방부, CIA 등)를 통해서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북한군 개입설의 진위 여부를 추적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김명국의) 육·해상 및 땅굴을 통한 침투 및 복귀 경로 주장은 과거 북한 공작원 또는 무장공비 침투 사례와 당시 우리 군의 경계태세 등을 종합하여 분석했을 때 실현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규명위는 “특히 자폭용으로 시신을 분쇄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폭약 관련 내용은 폭발물을 전혀 알지 못하는 일반인 수준의 서술로 그 신빙성이 극히 의심되는 주장”이라고 결론 냈다.

이어 “(김명국 주장처럼) ○○해안에서 증심사까지 약 60km의 거리를 도보로 ‘광주시가지를 우회하여’ 5시간 내 이동하기에는 거리 및 위치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5·18 투입 북한군 기념 열사릉(전사자 묘지) 주장에 대해서도 “5·18 당시 남파 후 전사하여 복귀 못 한 북한군의 묘지가 청진에 소재한다는 주장으로서, 우리 군 및 북한 자료 등을 확인한 결과 이는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인원들의 묘지인 것으로 추정됐다”고 반박했다.

5·18 진상규명위는 또한 “‘5·18 무사고정시견인초과운동’, ‘5·18 프레스’, ‘5·18 기계공장’ 등 북한에서 5·18을 기념한다는 활동을 검증했는데, 이는 모두 다른 의미로 ‘5·18’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5·18 무사고 정시견인초과 운동’의 ‘5·18’은 1979년 개최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5기 18차 전원회의를 의미하는 식”이라고 밝혔다. 규명위는 무엇보다 “구체적인 도발 징후 또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북한군 침투 사례는 없었다는 것이 미국 정부 기관들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박근혜정부 첫 해 첫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을 3일 앞둔 2013년 5월15일, 채널A ‘김광현의 탕탕평평’은 ‘5·18 북한군 개입의 진실’ 편을 통해 ‘남파 특수군 최초 인터뷰’를 내보내며 호들갑을 떨었다. 방송에서 김명국씨는 “광주폭동 참가했던 조장, 부조장들은 군단 사령관이 됐다”고 주장했다. 채널A는 김씨 주장을 바탕으로 “5월23일 10시 광주시내 한 복판 진입”, “5월19일 4시 대항리에서 50명 전투인원 지프차 타고 출발”, “5월19일 밤 9시 황해남도 장산포 바닷가 도착” 같은 자막을 마치 사실처럼 제공했다.

당시 김명국씨를 직접 만나 인터뷰한 동아일보 기자 김광현씨는 “(김명국씨) 증언이 제대로 전파를 타지 못하고 있었다”며 그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이 사건은 채널A의 사과방송으로 끝났다. 이날 방송에 출연한 또 다른 탈북민 이주성씨는 김씨의 주장을 바탕으로 논픽션 책 ‘보랏빛 호수’를 펴내 故 김대중 대통령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지난해 유죄를 받았다.

2013년 6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출석한 권순활 채널A 보도본부 부본부장은 “전언이 아닌 본인의 이야기이고, 본인이 그 진술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없는 상태에서 이 사람이 거짓말을 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부분도 감안해 주길 바란다”고 했으며 “내용을 보면 굉장히 구체적이다. 충분히 합리적 의심이나 합리적 의혹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라고 판단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채널A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프로그램 관계자 징계 및 경고’를 받고 사과방송을 했다.

진상규명위는 “향후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하는 탈북자 면담 조사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이에 따라 김명국씨는 5·18 진상규명위 앞에 모습을 드러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김씨가 8년 전 채널A 방송에 등장하기까지의 섭외 과정, 국가정보원 개입 여부 등 의혹이 드러날지도 관심사다.

▲사진: 2013년 5월 채널A '김광현의 탕탕평평'의 한 장면. 정면에 보이는 이가 김광현 진행자. 뒷모습 중 모자이크 처리된 이가 김명국씨다.

출처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679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03 최지 * 그 당시 시민 여러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102 12 *
저는 초등학생때 선생님께서 화려한 휴가라는 영화를 보여주신 적이 있습니다.
그 전까지 글로는 수도 없이 봐온 5.18민주화 항쟁이였지만 그 때의 저에게는 그저 많은 역사 중 하나였고 크게 느끼지는 못했던 일이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로, 시각과 청각으로 느낀 이 일은 그제서야 많은 역사 중 하나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때야 그들에게 얼마나 감사해야하는지, 그 일을 왜 단순하게 여기면 안되는지를 알았고 그 후로도 학원 선생님, 친척들 등 많은 분들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들을 때마다 저는 저의 무지를 알았고 절대로 잊어선 안되는 사건이라는 것도 계속해서 깨닳았습니다.나라는 광주 밖으로는 모두에게 폭동이라는 거짓말을 일삼았고, 그들은 폭동이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계속 싸움을 이어갔습니다.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일은 절대 폭동이라 부를 수 없는 자유를 향한 투쟁이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감사하고 그들이 지키려 했던 것을 지키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야할 것입니다.
내가 여기에서 정치를 비판할 수 있는 것, 편히 누울 수 있는 것, 먹을 수 있는 것은 모두 그들 덕분이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모두 그들의 덕분입니다. 민주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1 김혜 * 민주주의 도시 광주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주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는 지금 이 시간은 당신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0 이채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99 강여 * 다시는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아야겠습니다.
98 김연 * 우리나라의 민주화를위해 싸워주신분들께 감사하고,그분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97 박나 * 우리 자라를 위하여 희생과 노력을 해주신 분들에게 김사합니다 다ㅏㄱ븐에 우리 미라가 이렇게
96 이주 * 여러분이 계셨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계속 배우고 깨어있겠습니다.
95 강소 * 그 때의 일은 있을수도 없고 앞으로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편히 쉬시기를 기원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94 이윤 *
초등학생때 알게된 518민주항쟁...
40대 중반이 넘어선 지금도 해결되지 않는 진행형이라는 것이...
답답하고 슬픈 현실입니다.
민주와 자유를 위해 몸바치시고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들의 영혼이 편히 쉬실수 있도록
올해도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