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울린 목소리' 5·18 가두방송 전옥주씨 별세

2021.2.17 MBC뉴스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가두 방송을 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했던 전옥주 씨.

오늘 7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계엄군에게 가혹한 고문을 당해서 평생을 후유증에 시달리면서도 5·18 진상 규명에 앞장서 왔죠.

송정근 기자가 그의 삶을 되돌아 봤습니다.
 

[리포트] "우리는 최후까지 싸울 겁니다. 우리는 광주를 지켜내고야 말 것입니다."

계엄군이 전남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를 했던 1980년 5월 21일.

전옥주 씨는 가두 방송을 하고 있었습니다.

머리를 질끈 동여맨 이 여성, 당시 31살의 전옥주 씨입니다.

무용강사였던 전 씨는 친척집을 왔다가 계엄군의 만행을 목도 하고 직접 마이크를 잡았습니다.

광주에 울려 퍼진 그녀의 절규는 시민들의 저항에 불을 지폈습니다.

[故 전옥주/5.18 38주년 기념식, 2018년]
"지금 우리 형제 자매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집에서 편안하게 주무실 수 있습니까?"

하지만 간첩 누명을 쓰고 계엄군에 끌려간 전 씨는 여성으로서 도저히 견딜 수 없는 모진 고문을 당했습니다.

 

15년형을 선고받아 투옥된 뒤 1년 만에 특별사면으로 풀려났지만, 고문의 상처와 악몽에서 평생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故 전옥주/2019년 촛불집회] "아직도 저는 꿈속에서 헤맵니다.

여러분! 저는 아직도 내가 방송을 하지 않았다면 한 사람이라도 덜 다치지 않았을까 하는 죄책감 때문에 아직도 시달립니다."

고문 후유증과 죄책감에 시달리면서도 끝까지 5.18 역사왜곡에 맞섰던 전옥주 씨.

[조진태/5.18 기념재단 상임이사]
"(국회 청문회에서) 본인이 겪었던 고초, 이런 것들을 낱낱이 증명했죠. 그런 부분들이 일반 국민들에게는, 관심 있는 시민들에게 또 다른 충격을 주었고요."

지병 끝에 기구했던 72년 삶을 마감한 고인은 동지들이 잠들어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에 안장될 예정입니다.

[故 전옥주 / 2019년 촛불집회]
"여러분! 우리 5월 정신, 우리 5월 정신 정말 잊지 말아 주세요."

MBC뉴스 송정근입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091637_34936.html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29 이예 * 5.18 민주화운동 절대 잊지않겠습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128 이미 *
누군가의 아들 딸, 어머니 아버지, 아내, 남편이었던
40년 전에 멈춘 그 시간이지만
그분들을 기억하는 우리의 시간은 아직도 흐르고 있습니다.
당신들이 계셨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기억하겠습니다.
127 김수 * 우리나라의 역사니까 절대 잊지 않고 우리나라를 민주주의 국가로 다시 되찾게 해주신 것에 정말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126 김도 * 죄송하고, 감사하고, 잊지않겠습니다.
125 송민 * 정말 감사하고 영원히 잊지 않을께요
124 김시 * 당신들의 죽음이 헛 되지 않게 기억하겠습니다
123 조명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 지켜내주어서 감사합니다. 아마 그때 막지 않았다면 지금까지도 독재정권이 유지됬을수도있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지켜내주어서 감사합니다.
122 서현 *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121 황인 *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120 이규 * 많은분들의 희생 잊지않고 열심히 살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