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기억하는 '5.18민주화운동'(2017년-37주년)

[앵커]
오늘은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37주년 되는 날입니다. 촛불 시민혁명을 경험한 지금, 5.18은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는데요. 서울에서 5.18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기자]

<영화 '화려한 휴가' 중>

1980년 5월, 광주와 전남에서 신군부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신군부는 계엄군을 투입하고 도심은 시민들의 피로 물듭니다.

"신군부의 집권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광주 일대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 5.18. 당시 광주시민들은 37년 전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김용만 53세 / 당시 18세, 광주인성고 2학년>
"완전히 봉쇄가 된 상황에서 시민들이 자기 먹겠다고 움켜쥐지 않고 오히려 거리로 가지고 나와서 주먹밥 만들어서 나눠 먹고 그랬었거든요. 그리고 또 하나는 그렇게 갑자기 수많은 총기가 풀렸는데도 불구하고 은행, 금은방, 전당포 털린 게 없었고요."

<김미선 59세 / 당시 22세, 전남대 3학년>
"그때 당시에 (계엄군을) 피해서 살아남은 많은 사람들이, 저도 마찬가지지만 엄청난 마음의 부채를 안고 그렇게 살고 있죠.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 그것이 가장 크고요. 그게 오래도록 죄책감으로 남아있어요."

37년 전 우리에게 남겨진 기억 5.18.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시대 유산은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도 남겨놓았습니다.

<최병진 회장 / 5.18서울기념사업회>
"적폐를 청산하고 두 번째는 5.18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고 세 번째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법적으로 공식 지정해서 제창하고 네 번째는 특별법으로 5.18 왜곡행위를 막아야 되고 다섯 번째, 5.18 당시 발포 명령자를 찾는 진상규명을 재추진하겠다는…."

서울시청 시민청.

5.18을 기억하는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오는 25일까지 열리는 '5.18, 위대한 연대' 아카이브전입니다.

전시회는 민주화운동 이후, 진실규명을 위해 벌였던 해외 연대활동 기록물과 사진으로 기억을 더듬게 합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는 '5.18, 위대한 유산'전을 통해 당시의 생생했던 흔적을 사진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 현장을 뛰어다닌 사진작가들의 이야기는 고스란히 셔터에 담겨 현재로 넘어왔습니다.

광화문광장에서는 18일까지 추모제단이 설치돼 5.18민주영령을 위로 합니다.

시민의 방송 tbs TV는 오늘(18일) 밤 9시 30분 다큐멘터리 영화 '오월애'를 방송해 그날의 기억을 전합니다.

'오월애'는 기록되지 못했던 시민군과 드러내지 못했던 계엄군, 현재의 광주를 담담한 시각으로 풀어냅니다.

tbs TV는 또 5.18기념재단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기억하겠습니다 5.18'도 오늘(18일)부터 방송할 예정입니다.

tbs 박철민입니다.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R&seq_80... (동영상 시청 가능)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49 나만 *
중학교 1학년 막 입학한 후였다.
갑자기 학교 등교하지 말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당시는 학교 안가니 무조건 좋았다.
먼 거리 비포장 자갈길을 자전거로 통학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얼마 후 광주에 폭동이 일었다고 들었다.

518이 끝나고 난 후 분실한 총기를 찾는다며 수업을 매번 빠뜨리고 전교생이 동원되어
강변 갈대 숲을 뒤지면서 총기를 찾아다녔다.
얼마 후 시내 남녀 중고등학생들 모두를 동원하여 대로변 양옆에 도열하게 한 후 검은 차가 지나가면 손을 열렬히 흔들라고 교육을 받았다.
한참 후 검은 차 몇대가 지나가는데 우리는 북한 보신박수 수준과 열광적인 환영식을 강요받았다.
어린 마음에도 더럽게 기분이 나빴다.
3년 후 광주로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었다.
입학하자 마자 최루가스로 범벅이 된 대학 정문을 지나 학교를 드나들었다.
전경들이 대학 내로 진입하여 무자비하게 폭행하고 끌고가던 시절이었다.
대자보를 열심히 읽었다.
뭔가 이 사회가 정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처음에는 어렴풋이, 1년이 지나자 518때 공수부대의 학살 장면, 당시 폭도라던 시민들 사이에 한 건의 절도사건도 없었음을 일상적으로 사진으로, 그리고 몰래 돌려보는 518 항쟁 관련 유인물들과 대자보를 통해 볼 수 있었다. 그 때 정말 이 나라는 혁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두환은 반성과 사과 한 번 없이 7년 내내 기세등등했다.
518기념일이 되면 망월동 입구에서 전경들이 닭장차를 대기시키고 무조건 체포하여 버스에 실어 교통수단이 없는 먼 오지에 버려두곤 했다. 그걸 피하기 위해 3KM여 정도를 더 우회하여 망월동 묘지를 참배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2학년 때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하모니커를 불었는데 당일 시위한걸 깜박하고 하모니커를 연주하면서 길게 들이마신 후 일주일동안 목에서 피가래가 계속 나와 수업을 받을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일주일 계속된 피가래 증상 이후 지금까지 30년이 넘게 건조한 계절이나 여름에 에어컨을 틀면 물병을 들고 산다. 그렇지 않으면 사래 들려 말을 할 수 없는 지경이다.

다시 오늘 518을 맞는다.
윤석열이라는 희대의 정치검사와 그의 졸개들이 이제 국민 여론은 아예 깡그리 무시하고 법도 무시하면서 노골적으로 법위에 군림하는 정치를 하고 있다.

어제 윤석열이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을 만들어 엄단하겠다고 했다.
야 윤석열 이 더러운 정치검사야,
네 마누라 김건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수사 이따위로 뭉개면서 또 제2의 채널A사건 만들어 유시민 같은 정적 제거하려고 기도하고 있나?
이런 더러운 놈들이 공정과 상식과 법과 원칙을 입에 올리는 이 참담한 현실,
절대 그대로 지켜볼 수 없다.
제주의 4.3도 419 혁명도 80년 광주항쟁도, 87년 노동자 대투쟁도 여전히 완성되지 못하였다.
이번 봄에는 멀어도 광주에 꼭 다녀와야겠다.
들리는 길에 노무현 대통령님의 고향도 꼭 들러봐야겠다.

148 이문 *
잊지 않겠습니다! 책임자 처벌뿐만 아니라,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과 그 가족들 위한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촉구합니다!
147 나현 * 5.18 민주화운동 42주년
임을 위한 행진곡~함께
146 김석 * 그날을 잊지않으며 오늘의 태양과 하늘에 태그기가 펄락일수 있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가합니다.
145 양 *

43여년의 기나긴 모진 비바람 속에도 영원히 가슴에 영롱한 의로움의 넋은 계승되고 온전한 믿음의 계승으로 살아 새롭게 만나게 됩니다.
불상히 여기신 먼저가신 선대분들의 민주화운동을 잊지 않고 기억한 한분 한분의 사랑 감사와 경외를 드립니다.
삼가 하늘의 영면은 살아 있는 한분 한분의 몸과 마음과 영혼에 영원한 사랑 입니다.
다시 기억한 민주화의 법:유신독재자 재산환수법+군부독재자 재산환수법+친일혈족의재산환수법= '통합적 국가적 야만의 폭언폭력의 학대자들의 재산 환수법''다르면다를수록 아름답습니다'.
144 *
143 hs * hs=96c85ea3c7a31a7f61de8155d321ac1b<div style="display:none;">
142 장익 *
광주518민주화운동 41주년 입니다. 광주518민주화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염원의 횃불,어두운 바다의 등대,사람 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
모든 사람들의 기본 권리를 짓밟아 무력으로 공포 통치하려는 신군부 군부세력의 잘못된 발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
대한민국 민주화의 선봉에서 주권자 권력자의 책임을 이행하다 순직하신 유공자 영령 분들과 유가족 분들에게 진심으로 위로하며 감사합니다.
.
아직 행방불명되어 계신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
518민주화운동에 희생당한 분들에게 살아있는자들은 예우를 갖추어야 하며 더이상 518민주화운동 명예가 실추되지 않도록 합시다.
.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명령복종한 자들은 행불자 제보라도 하세. 가족의 유골은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억합니다.
.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헌법과 교과서에 왜곡없이 기록,수록 됩니다.
141 장익 *
광주518민주화운동 41주년 입니다. 광주518민주화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염원의 횃불,어두운 바다의 등대,사람 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
모든 사람들의 기본 권리를 짓밟아 무력으로 공포 통치하려는 신군부 군부세력의 잘못된 발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
대한민국 민주화의 선봉에서 주권자 권력자의 책임을 이행하다 순직하신 유공자 영령 분들과 유가족 분들에게 진심으로 위로하며 감사합니다.
.
아직 행방불명되어 계신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
518민주화운동에 희생당한 분들에게 살아있는자들은 예우를 갖추어야 하며 더이상 518민주화운동 명예가 실추되지 않도록 합시다.
.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명령복종한 자들은 행불자 제보라도 하세. 가족의 유골은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억합니다.
.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헌법과 교과서에 왜곡없이 기록,수록 됩니다.
140 최현 *
80년 그날의 영령들을 기억하며 5.18정신 잊지 않고 살아가겠습니다.
'민주'... 민이 주인이 되는 세상을 꼭 만들어가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