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기억하는 '5.18민주화운동'(2017년-37주년)

[앵커]
오늘은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37주년 되는 날입니다. 촛불 시민혁명을 경험한 지금, 5.18은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는데요. 서울에서 5.18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기자]

<영화 '화려한 휴가' 중>

1980년 5월, 광주와 전남에서 신군부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신군부는 계엄군을 투입하고 도심은 시민들의 피로 물듭니다.

"신군부의 집권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광주 일대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 5.18. 당시 광주시민들은 37년 전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김용만 53세 / 당시 18세, 광주인성고 2학년>
"완전히 봉쇄가 된 상황에서 시민들이 자기 먹겠다고 움켜쥐지 않고 오히려 거리로 가지고 나와서 주먹밥 만들어서 나눠 먹고 그랬었거든요. 그리고 또 하나는 그렇게 갑자기 수많은 총기가 풀렸는데도 불구하고 은행, 금은방, 전당포 털린 게 없었고요."

<김미선 59세 / 당시 22세, 전남대 3학년>
"그때 당시에 (계엄군을) 피해서 살아남은 많은 사람들이, 저도 마찬가지지만 엄청난 마음의 부채를 안고 그렇게 살고 있죠.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 그것이 가장 크고요. 그게 오래도록 죄책감으로 남아있어요."

37년 전 우리에게 남겨진 기억 5.18.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시대 유산은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도 남겨놓았습니다.

<최병진 회장 / 5.18서울기념사업회>
"적폐를 청산하고 두 번째는 5.18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고 세 번째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법적으로 공식 지정해서 제창하고 네 번째는 특별법으로 5.18 왜곡행위를 막아야 되고 다섯 번째, 5.18 당시 발포 명령자를 찾는 진상규명을 재추진하겠다는…."

서울시청 시민청.

5.18을 기억하는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오는 25일까지 열리는 '5.18, 위대한 연대' 아카이브전입니다.

전시회는 민주화운동 이후, 진실규명을 위해 벌였던 해외 연대활동 기록물과 사진으로 기억을 더듬게 합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는 '5.18, 위대한 유산'전을 통해 당시의 생생했던 흔적을 사진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 현장을 뛰어다닌 사진작가들의 이야기는 고스란히 셔터에 담겨 현재로 넘어왔습니다.

광화문광장에서는 18일까지 추모제단이 설치돼 5.18민주영령을 위로 합니다.

시민의 방송 tbs TV는 오늘(18일) 밤 9시 30분 다큐멘터리 영화 '오월애'를 방송해 그날의 기억을 전합니다.

'오월애'는 기록되지 못했던 시민군과 드러내지 못했던 계엄군, 현재의 광주를 담담한 시각으로 풀어냅니다.

tbs TV는 또 5.18기념재단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기억하겠습니다 5.18'도 오늘(18일)부터 방송할 예정입니다.

tbs 박철민입니다.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R&seq_80... (동영상 시청 가능)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89 이동 * 그 때 힘써주신 분들 덕분에 저희의 일상이 있음을 기억하겠습니다.
188 심예 *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187 박민 * 덕분에 지금의 저희가 있어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186 정서 * 여러분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185 위지 * 당신들이 있기에 지금의 아름다운 광주가 있습니다
184 서정 * 항상기억하겠습니다
183 권은 * 정말로 멋지십니다..!! 학생들도 많이 참여하셨다고 배웠는데 저 같았다면 망설였을 행동을 자발적으로 하셨다니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182 박지 * 감사합니다
181 오나 * 저희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180 조유 * 5.18 많은 분들 존경하고 안타깝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