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37주년), 서울에서도 ‘기념식과 중.고생 골든벨’ 행사

프로젝트명: 

벌써 서른일곱 돌 맞은 5.18...‘새롭게 더 날아야!’

박정례 | 기사입력 2017/05/16 [02:16]

  •  
  •  
  •  
  •  
  •  
  •  
  •  
  •  

 

 

 

.

.

5.18도 어언 37년째에 이른다. 강산이 세 번 바뀐 데다 일곱 해의 연륜을 더했다. 권위 있는 문헌을 보노라면 민족의 명운을 건 전쟁이며 대역사를 앞두고는 30년 단위로 그 의미를 새기면서 기념비적인 선언이 이루어지곤 했다. 5.18은 이처럼 한세대를 지나고도 7년을 더 보태야 셈이 가능한 성년기를 맞이했다. 빛의 속도로 발전하다시피 하는 21세기의 시간 개념에 비추어 볼 때 가히 번개속도라 할 만큼 기나긴 시간이 지난 것이다.

.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세상이 제 아무리 바뀌었어도 산맥처럼 무겁고, 금강석과도 같이 단단하게 떨쳐야 하는 가치가 있다. 5.18민주항쟁의 숭고한 정신이다. 5.18의 피 값으로 군부독재는 무너졌고, 5.18의 뜨거운 함성으로 이 나라는 기어코 민주주의시대를 열었다. 37년째를 맞는 5.18광주민주항쟁 기념단체들이나 유관단체들은 이쯤해서 그동안 5.18을 유지 계승하는데 있어 느슨하게 대처했거나 소홀한 대응으로 광주민주항쟁의 고귀한 정신을 빛바래게 했거나 가치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독소를 퍼뜨리지 않았는지 처절한 반성과 함께 거듭나야 할 중대한 시점이다.

.

자기 동족, 그것도 생 때 같이 젊고 어린 학생들을 향해서 무자비하게 총칼을 겨누던 공수부대의 폭력에 굴하지 않고 이뤄낸 민주주의 가치는 그 어떤 인간도 더럽고도 가벼운 세치 혀로 더 이상은 훼손하지 못하도록 다시 한 번 정신을 가다듬어 새롭게 나아가야 한다.

.

5.18광주민주항쟁이 일어난 것은 1980년이요.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만들어진 것은 13년이 지난 1983년이다. 북한과는 상관도 없이 창작된 노래를 북한과 연결시켜 기념식장에서 제창하지 못하도록 5·18을 훼손하고 추락시키는 일에 앞장서고 반목을 조장하믄 훼방꾼들이 많았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5.18의 핵심가치는 소홀히 하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느냐 마느니 등 지엽적인 문제로 너무 천착하는 식의 소아적인 태도는 경계해야 한다. 소탐대실을 말아야 한단 말이다. 이번 5.18광주민주항쟁 기념식에서는 당연히 ‘임을 위한 행진곡’이 방해 없이 불리어진다는 소식이고 보니, 이는 제자리 찾기에 불과한 일로서 그 의미를 한정해야 한다.

.

더 중요한 것은 1980년 5ㆍ18광주항쟁 전후부터 1997년 국가기념일로 제정되기까지의 과정에서 5.18광주민주항쟁이 헌법 전문에 들어가는 일이 공론화 되는 과정에서 군부독재의 재발 방지 약속을 받아내는 선에서 타협을 해버린 점이다. 참으로 우습고도 아이러니 한 일이라 하지 않은가. 군부세력들이 도대체 무슨 자격으로 누구한테 독재 재발방지 약속을 한다는 것인지, 또 이게 가능하기나 한 성질의 것인지 이해난감일 뿐이다. 부질없고도 허황된 교언영색이 아닐 수 없다. 이제부터라도 헛된 것엔 큰 의미 두지 말고, 한 단계 더 성숙하고도 발전적인 광주 5.18을 꾸려가길 바란다.

.

서울에서도 5·18기념식과 함께 제13회 서울청소년대회’ 특히 ‘청소년 골든벨’(기념식 10시, 골든벨 11시~2시)이 광화문 북쪽 광장에서 주먹밥 행사와 함께 열린다. 전야제 성격의 광화문음악회 또한 17일 저녁 7시에 막을 연다. 광주나 서울이나 이번 행사는 80년 광주의 5.18만이 아니라 전 국민의 ‘공동체 정신’이 주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글쓴이/박정례 기자.르포작가.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국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kookminnews.com/sub_read.html?uid=14320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07 강연 * 모든 분들의 희생과 노력을 잊 지 않겠습니다.
106 이나 * 힘내세요
105 이지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많은 분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는것 잊지 않고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104 박찬 * 희생 되신 분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103 최지 * 그 당시 시민 여러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102 12 *
저는 초등학생때 선생님께서 화려한 휴가라는 영화를 보여주신 적이 있습니다.
그 전까지 글로는 수도 없이 봐온 5.18민주화 항쟁이였지만 그 때의 저에게는 그저 많은 역사 중 하나였고 크게 느끼지는 못했던 일이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로, 시각과 청각으로 느낀 이 일은 그제서야 많은 역사 중 하나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때야 그들에게 얼마나 감사해야하는지, 그 일을 왜 단순하게 여기면 안되는지를 알았고 그 후로도 학원 선생님, 친척들 등 많은 분들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들을 때마다 저는 저의 무지를 알았고 절대로 잊어선 안되는 사건이라는 것도 계속해서 깨닳았습니다.나라는 광주 밖으로는 모두에게 폭동이라는 거짓말을 일삼았고, 그들은 폭동이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계속 싸움을 이어갔습니다.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일은 절대 폭동이라 부를 수 없는 자유를 향한 투쟁이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감사하고 그들이 지키려 했던 것을 지키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야할 것입니다.
내가 여기에서 정치를 비판할 수 있는 것, 편히 누울 수 있는 것, 먹을 수 있는 것은 모두 그들 덕분이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모두 그들의 덕분입니다. 민주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1 김혜 * 민주주의 도시 광주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주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는 지금 이 시간은 당신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0 이채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99 강여 * 다시는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아야겠습니다.
98 김연 * 우리나라의 민주화를위해 싸워주신분들께 감사하고,그분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