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안내 참고글입니다 - '눈'

** 1980년 5.18당시, 시민군으로 참여하셨으며 
본 회 회원이신 이 연 선생님께서‘시민의 눈’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보내오셨습니다.

 

5ㆍ18기념 청소년대회에 
작품을 응모하려는 여러분의 생각을 열어가는 데 도움이 되기 바라며
이 연 선생님의 글에 이미지를 더하여(본회 편집) 소개합니다.
 

 

시민의 눈

 

민주주의 사회를 이루기 위해, 보다 성숙한 민주 사회로 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시민의 ‘눈’입니다. 

 

먼저 ‘직시하는 눈’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민주사회의 시민들은 눈을 부릅뜨고 정부와 기업의 불의와 불법을 감시하고, 권력의 오만과 배신을 지켜봐야 합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이젠 민주주의보다 경제다”라는 말에 잠시 어리둥절한 사이, 민주적 가치와 절차들이 유린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핵 피폭국으로서 누구보다 핵에 민감한 일본 시민들의 방심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에 대한 감시의 소홀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키운 게 아니었나 생각이 됩니다.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라는 윤동주 시인의 말처럼, 순간의 방심도 허용되지 않는 게 진실을 ‘직시하는 눈’입니다.

 
 

‘진실을 보는 눈’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네가 본 건 먹구름 뿐.” 신동엽 시인의 시입니다.

 

우리는 진실을 봤다고 하지만, 사실은 헛 것을 진실로 착각하는 일이 많지요. 

 

자신은 하늘을 봤다고 믿지만, 사실 먹구름이라는 것이죠. 

 

“쇠 항아리 속에서 그걸 세계로 알고 그 덮개를 하늘로 알고” 살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5.18 이전에 미국은 정의, 자유와 민주의 상징처럼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5.18 당시 미국의 역할이 밝혀진 후 우리는 먹구름을 하늘로 알고 살아왔다는 걸 깨달은 거죠.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꿰뚫어 보는, ‘통찰의 눈’도 있습니다.

 

정치인이나 기업인에게서 숱하게 볼 수 있는 거짓 구호와 책임 회피, 변명, 언론의 왜곡보도, 학자들의 곡학아세 등은 늘 화려한 수사와 그럴듯한 논리, 이론으로 치장돼 있습니다. 비록 그들의 가슴에 거짓말 탐지기로 들이대지는 못하지만, 실상을 읽어낼 수 있는 눈이 있어야겠지요.

 

참과 거짓을 가려내는 눈, 
중심이 되는 것과 부차적인 것을 구별해내는 눈, 
흐름과 변화를 읽어내는 눈,
즉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으로서의 눈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해와 나눔의 눈’도 있습니다. 

 

어려운 이웃,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을 향하는 우리의 눈길, 그들을 외면하지 않는 눈길이 바로 그것입니다. 
 

 

추위에 떨고 있는, 배고픔에 허덕이는, 강자의 폭력에 억압받는 이웃의 아픔과 처지를 이해하고 나누려는 따뜻한 눈길은 공동체적 연대로 가는 출발점입니다.

 

 

 

민주적 ‘시민의 눈’을 위협하는 눈도 있습니다.

 

흔히 ‘빅브라더’라고 하는 ‘감시의 눈’입니다. 

 

과거 독재 권력 하에서 민주인사들을 대상으로 행해지던 정보기관의 직접 감시, 검열, 전화 도청, 이메일 검사 등이 이제는 기업에서는 전 직원들의, 사회에서는 시민전체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는 이른바 원형감옥(파놉티콘)처럼 변화하고 있습니다. 호시탐탐 ‘감시의 눈’이 자리를 잡은 후의 사회는 조지오웰의 소설 ‘1984년’과 같이 끔찍한 것입니다.

 

 

 

민주적 ‘시민의 눈’을 어지럽히는 눈도 있습니다.

 

현실을 애써 외면하는 눈, 진실을 왜곡하는 눈이 바로 그것입니다.

 

 

1980년 당시, 5.18의 진실을 왜곡하던 언론과 어용학자들의 눈이 바로 대표적인 예입니다. 

 

여기에서 ‘관점으로서의 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대규모 해고와 정규직의 비정규직화를 바라보는 관점의 경우, 경영자는 경영합리화와 구조조정이라는 미명으로 이 일을 주도하고, 기업 혁신가라는 찬양과 거액의 연봉을 보상받습니다. 하지만 해고당한 사람들, 비정규직으로 내몰린 다수의 약자들의 눈에는 이런 혁신이 경영자와 소수의 대주주만을 위한 야만으로만 보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언론과 학자가 특정 관점, 즉 경영자의 관점만을 홍보한다면 ‘시민의 눈’을 혼란케 합니다.

 

 

절대적으로 타당한 단 하나의 관점은 없겠지만,

 

소수의 이익을 위해 다수를 위협하는 관점, 민주주의를 유린하는 관점, 미래를 좀 먹는 관점보다는, 더불어 사는 사회, 민주적 절차와 가치가 존중되는 사회, 보다 나은 미래를 지향하는 관점을 찾아야겠지요.

 

 

 

아래의 사진은

 

1980년 5월 항쟁 당시, 
눈도 감지 못한 채 돌아가신 어느 5.18시민군의 눈을...
감겨주고 있는 시민의 모습을 담은 사진입니다.

 

 

차디찬 주검이 되어 돌아가신 분의 눈...
이 참혹한 주검을 수습하고 있는 시민의 눈...
이 사진을 찍으신 분의 눈....

 

그리고 
31년이 지난 지금, 이 사진을 보는 여러분의 눈. 

볼수록 가슴이 먹먹해지는 이 사진을 보며...
우리가 꿈꾸고 바라는 세상의 ‘눈’을 곰곰이 생각해봤습니다.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18 이창 *
살인귀 전두환의 추징금 1,005억원을 아직까지도 추징안하고 있는 것이 국민으로서는 도무지 이해가 안됩니다.
지금이 이명박근혜 매국수구정권도 아닌
우리 문재인 애국민주정부인데 말입니다.
117 이창 *
전두환 이희성 정호용 최세창등의 대구 경북출신들로 이루어진 정치군인들과
5월 광주에서 참혹하기 그지없는 학살과 도륙 강간 범죄를 자행한 전두환의 공수부대원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불로재산 환수 없이는
화해와 용서는 공염불에 불과하거늘
지금이라도 민주당은 관련법안 제정과 통과에 전력을 다해야합니다.
116 김승 *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감사합니다.
115 임가 * 언제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요.
114 박지 *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113 위지 * 기억하겠습니다
112 유승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많은 분들이 희생되어서 매우 슬픕니다. 지금의 우리나라가 있게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분들이 목숨을 바치시면서 지켜내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입니다. 절대로 잊지 않겠습니다.
111 김범 * 민주주의 를 위한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110 이나 *
5.18 광주 시민 민주화 운동이 100년이 지나도 후손의 후손들까지 기억할 수 있게
우리부터 기억해야합니다
그 날 광주의 시민분들께서 한 영광스런 시위를 헛 되지 않게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하고 잊지 않겠습니다
109 이나 *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