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그리고 ‘광주’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지난달 미얀마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국민민주연맹이 총선에 압승하자 이에 불복하며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후 미얀마 곳곳에서 군부를 규탄하는 시위가 이어졌고, 군부의 강경 진압으로 미얀마에 유혈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미얀마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는 21일 현재, 민주화 시위대 최소 249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도심을 장악한 군인들은 점차 테러집단으로 변해 이유 없이 지나가는 사람에게 발포를 하거나 시민들의 재산을 훼손하고 있다.

 

급기야 시위대에 대한 발포를 넘어 집에 있는 학생을 조준 사격해 숨지게 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다.

 

41년 전 광주가 떠올랐다.

 

1980년 광주와 전남 일대에서 신군부의 집권 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 실현을 요구하며 전개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계엄군의 발포 등 만행으로 확인된 사망자만 218명, 행방불명 363명 등 7천200명이 넘는 사람이 피해를 입었다.

 

군부에 의해 평가 절하되며 ‘광주사태’라는 명칭이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바뀌는 데만도 지난한 세월이 필요했고, 당시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은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얼마 전 아직도 아물지 않은 상처의 한 면을 보여주는 일이 있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민간인을 사살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잘못을 세상에 알리고 유족에게 사죄와 용서를 구한 것이다.

“내가 총을 쐈어요. 내가 쏜 총에 사람이 맞았어요”

 

41년 만의 고백과 함께 공수부대원은 굵은 눈물방울을 흘렸다.

 

무고한 사람을 죽였다는 죄책감은 40년이 넘는 세월 끊임없이 그를 괴롭혔다.

 

공수부대원을 만난 유족들은 그의 용기 있는 고백에 고마움을 표하고 용서의 말을 했다.

 

“늦게라도 고맙다. 죽은 동생을 다시 만났다고 생각하겠다”
 
이제 다시 쿠데타에 이어 과잉 진압으로 미얀마 국민을 억압하고 있는 군부에 묻는다.

 

당신들의 미래를 선택할 수 있다.

 

그것은 수십 년의 죄책감이 될 수도 있고, 사죄와 용서를 통한 참회의 시간이 될 수 있다.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https://www.sisakorea.kr/sub_read.html?uid=61361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98 손예 * 잊지않겠습니다
197 하아 * 잊지않겠습니다
196 윤희 * 덕분에 좋은세상에서 살아가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95 한정 * 광주의 이름을 기억될 아름다운 희생을 잊지않겠습니다.
194 이서 * 민주화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193 김다 * 518동지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192 주연 * 자신들의 의지를 지키기 위해서 용감하게 맞서싸운 학생•시민분들을 추모합니다
191 박수 * 부정한 상황에 맞서서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190 김자 * 현재 대한민국을 만들어주신 518 열사분들 항상 잊지 않겠습니다
189 이동 * 그 때 힘써주신 분들 덕분에 저희의 일상이 있음을 기억하겠습니다.

페이지

Back to Top